ㆍ귀의 생리 |
1) 귀지 - 정상
외이에는 두 종류의 선 즉, 피지선과 아포크린선이 있으며 여기서 분비되는 물질이 귀지이다. 외이염이 있을 경우 외이가 붓게 되고 귀지가 많이 생성되는데 이것은 대부분이 아포크린선이 비대되어
→ 귀지의 배출 - 귀지가 분비되면 천천히 자연적으로 귀 밖으로 배출되는데 이때 작용하는 것이 상피이주이다. 외이의 상피는 고막에서부터 시작하여 외이를 따라 서서히 귀 밖으로 빠져나오는데 이때 상피위에 있는 귀지도 같이 배출되게 된다. 고막에 이상이 있거나 외이염 혹은 종양이 있을 경우 상피이주가 지연되고 따라서 귀지가 축적되면 이차적으로 염증이 악화된다. |
ㆍ귀질병의 원인 |
귀 질병은 귀만의 문제가 아니고 피부질병과 연관되어 있는 것이 매우 많으며 따라서 여러 진단 검사를 통해 정확한 원인을 감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다음은 귀질병의 분류입니다. 1) 1차적인 원인 ㆍ귀진드기 - 어린 강아지에서 많으며 주로 번식장에서 관리부실로 인해 어미로부터 감염된 것이 대부분이다. ㆍ벼룩과 진드기 - 드물지만 귀안까지 들어가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ㆍ이물질 - 산책이나 사냥중 풀씨나 까끄라기가 귀안으로 들어가 고막을 천공시키고 내이염을 유발하는 |
ㆍ외이의 종양 |
- 노령견의 정기적인 귀 검사 중에 많이 발견되는 귀 내의 문제중 하나로 대부분이 양성 귀지선종으로 종양 그자체로는 문제가 되는 경우가 적으나 종양으로 인해 귀지가 귀 내에 축적되어 이차적으로 외이염을 유발함으로 항상 정기적인 관찰이 필요하다.
|
ㆍ내이염 |
내이염은 만성 외이염을 가진 개의 80%에서 나타날 만큼 흔하나 진단되지 않은 채 지내는 경우가 많으나 특별한 원인없이 귀의 염증이 지속될 경우 진단을 받아 보시는 것이 좋다. 내이염의 진단은 검이경으로 고막이 파열되어 있으나 방사선상에서 중이내의 염증상태로 판단한다. 일단 내이염이 진단되면 최소 2-3개월이상 약물처치를 하여야 하며 마취후 세정을 자주 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집중적인 처치에도 불구하고 치료가 되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이럴 경우에는 수술을 하여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