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견예방접종관리

예방접종 시기와 방법

2747 2008. 1. 19. 12:38

예 방 접 종


   ■ 예방접종 시기와 방법


     ▲ 예방접종은 전염성이 강한 질병으로부터 애견을 지켜주기 위해 합니다. 전염병은 치료기간이 길뿐만 아니

       라 치료비용도 많이 들고 전염병을 이기더라도 애견의 기초 체력이 떨어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맞추어

       주어야 합니다.


      ▲ DHPPL 혼합백신 (종합백신)

         D  canine Distemper (홍역)  식욕감퇴, 고열, 누런 콧물, 과다한 눈곱, 구토, 설사

         H  Hepatitis (간염)  황달, 식욕감퇴, 고열, 구토, 복통

         P  parvovirus (파보장염)  피가 섞인 설사, 구토, 탈수

         P  Parainflluenza (파라인플루엔자)  호흡기 질환, 피가 섞인 소변, 황달

         L  Leptospira (렙토스피라)  발열, 쇠약, 침울, 황색소변, 변비 후 설사


     ▲ 접종시기와 방법

      - 6주 이후부터 2주 간격으로 5회 접종한다.                  

예방 주사

예방접종을 안 받은

(면역이 안된)모견의 자견

예방접종을 받은

(면역이 된)모견의 자견

DHPPL

(혼합백신)

1차 접종

2차 접종

3차 접종

보강 접종

생후 2-4주령

생후 6~8주령

생후 12~14주령

매년 1회

생후 6-8주령

생후 9~10주령

생후 12~14주령

매년 1회

광견병

1차 접종

2차 접종

보강접종

생후 2~5개월령

생후 12개월령

매년 1회

 

코로나

(Corona)

장염

생후 6주부터 2~4주 간격으로

2~3회 접종

필요하다면 년 1회

감기

생후 8주부터 2~4주 간격으로

2~3회 접종

필요하다면 년 1회



   ■ 예방접종을 한 후에 접종반응(열, 침울, 통증, 종창)이 나타날 수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는 하루 정도 조용한

     곳에 두면 자연히 괜찮아 지지만 심할 경우 또는 이상증상(구토, 설사, 경련, 두드러기, 부종)이 나타날 경우

     에는 수의사를 찾는 것이 좋습니다. 접종이 완료되기 전까지는 외출을 삼가 합니다. 항체가 완전하지 않기 때문

     에 감염의 우려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