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사용시의 유의사항 |
현재 국내에서 생산 또는 수입 판매되는 백신의 종류로는 DHPPL. PC(파보생독+코로나사독) . Corona K. (코로나 사독). P ( 파보생독), P-K (파보사독) 백신. 켄넬코프생균백신과 사균백신. 켄넬코프 톡소이드백신. 광견병 백신도 생독과 사독 그리고 미끼 백신 등이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백신이 있는데 여기다가 동일한 백신을 몇 차례씩 주사를 놓아야 하기 때문에 요즈음의 개는 백신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제조사가 혼합백신을 만들 때에는 바이러스 유형간에 간섭 현상이 덜하고 안전하며 표적장기( Target organ )가 다른 백신을 몇 개씩 묶어 DHP, DHPP, DHPPL, DHPPLL, DHPPCL 이라는 혼합백신을 생산하고 있어 일반 사양가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가. 파보백신처럼 생독백신과 사독백신이 각각 개발되어 혼용되고 있는 경우에는 생독백신은 DHPPL과 병행 가. 하여 사용 할 수 있지만 사독은 최소 15일 정도의 간격을 두고 사용한다. 최근에 우수한 파보 생독백신이 가. 개발되기 전 집단화된 비육견 농장에서 제일 폐사율이 높았던 바이러스 감염증이 파보바이러스 장염이었 가. 으며 이때 생후 20일령에 사독백신을 조기에 사용하도록 프로그램화 되었던 일도 있었다. 나. 코로나백신은 사독백신임으로 DHPPL과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너무 어리거나 병약한 개체는가능한 나. 1주일 정도의 간격을 두고 접종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다. 코로나 백신은 사독 백신임으로 2회 정도의 백신만 접종한다. 라. 켄넬코프 백신은 사균 백신임으로 이론적으로는 DHPPL과 처음부터 병행하여 주사를 놓으실 수 는있지 라. 만 최소한 6주가 경과한 후에 실시하고 가능하다면 DHPPL 3차때 부터 10 일 간격으로 2회 정도 접종한 라. 다. 마. 광견병 생독백신은 3개월 이상된 개체에 사용하되 근육주사하고 사독 백신은 일령과 체중에 관계 없이 |
'애견예방접종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체이행항체(母體移行抗體 (0) | 2006.10.31 |
---|---|
국내에서 판매되는 백신종류 (0) | 2006.10.31 |
백신 접종시기 선택시 고려사항 (0) | 2006.10.31 |
예방접종 (백신)에 관하여 (0) | 2006.10.12 |
강아지 예방접종 계획표 (0) | 2006.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