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견예방접종관리

강아지 예방접종 계획표

2747 2006. 10. 12. 14:09

*** 생후 1년 미만


생후 1년 미만 강아지의 예방접종은 면역성을 높여 병에 감염되었을때 이겨낼수 있는 힘을 키워주기위해 해줍니다.


항원을 주사해서 항체를 만드는 과정이죠




일반적으로 예방접종은 생후45~50일경부터 약15일 간격으로 다음과 같이 주사하는데요


1 차 : DHPPL(종합백신) + Corona(코로나장염)

2 차 : DHPPL + Corona

3 차 : DHPPL + KennelCough(전염성 기관지염)

4 차 : DHPPL + KennelCough

5 차 : DHPPL + Rabies(광견병)



* DHPPL(종합백신)의 경우 3회 이상이 필수사항입니다.. 항체의 형성이 목적이므로 3회 후 한달뒤 항체검사를 하신 후 결과를 보고 진행하셔도 좋습니다...


* Corona(코로나장염)과 KennelCough(전염성 기관지염)은 접종 시기에 따라 순서가 바뀔수 있습니다.


* Rabies(광견병)은 약품의 종류에 따라 1년에 두번, 또는 1년에 한번 해줍니다.

. (국산 : 생독바이러스 - 근육주사, 수입 : 사독바이러스 - 피하주사)



* DHPPL : 종합 예방 주사

(D: 홍역, H: 간염, P: 파보바이러스 장염, P:인플렌자, L:렙토스피라)

* Corona V: 구토, 설사를 일으키는 위장염

* Kennel Cough V: 전염성 기관지염



* DHPPL(국산종합백신)보다 DHPPLA2(수입혼합예방주사)를 권장합니다


** DHPPLA2(수입혼합예방주사) ; DHPPL + 아데노바이러스 타입2(독감)






*** 성견의 예방접종


접종에 의한 항체는 10~14개월경부터 기능이 저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매년 추가접종을 해주게 됩니다.


DHPPL(종합백신)을 필수로 하고

Corona(코로나장염)와 KennelCough(전염성 기관지염)는 선택으로 생각하셔도 좋습니다.


Rabies(광견병)은 봄가을 두번 국비지원으로 권장하는 시기에 맞추셔도 됩니다.


DHPPL(종합백신)은 항체검사후 결과에 따라 접종하셔도 좋습니다.






*** 기생충의 구제


3개월 미만의 자견은 1~2주에 한번씩 '종합구충제'로 구충할것을 권장합니다.


3개월 이후~성견은 5~12월 (또는 1~12월)은 일반구충제가 함유된 '심장사상충약'을 권장합니다


3개월 이후~성견의 경우 1년에 1~2회정도는 '종합구충제'를 투여할것을 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