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견질병

■ 생태학의 역할

2747 2008. 1. 14. 20:17
 ■ 생태학의 역할
역학(疫學)은 동물군에서 발생하는 질병에 대한 연구이므로 때때로 생태학의 의학적 측면이라고 정의하기도 한다. 역학에서 질병의 복합원인 개념에는 질병의 원인균, 환경과 숙주요인이 포함되는데, 환경요인으로는 지리적 특성과 기후 등이 있고 숙주요인으로는 연령·품종·성별·심리상태·면역여부 등이 있다. 따라서 역학은 감염동물·발생환경·원인균·전파양식 등을 연구하고 역학자는 의학·동물학·수학 등을 이용하여 특정 지역에서 발생하는 질병의 유형을 결정하며 환경을 적절히 변화시켜 질병을 규제하려고 노력한다.
동물의 질병은 집단 내의 한 개체에서만 우발적으로 일어나는 산발성 질병, 한 지역에서만 통상적으로 발생하는 풍토병, 평균비율보다 높게 동물군에서 발생하는 유행병 등으로 각기 일정한 특색을 가진다. 특히 유행병은 원인균과 감염동물 사이의 관계가 불안정하다. 보통 자연적 또는 사람에 의해서 발생하는 유행병은 생태학적 불균형이 원인이며, 이와는 대조적으로 풍토병의 발생은 생태계의 균형상태를 의미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시의 나쁜 위생시설은 설치류(→쥐목)의 좋은 증식조건이 되어 페스트와 같은 질병을 사람에게 전파할 수 있다. 원래 원인균인 페스트균(Pasteurella pestis)은 비교적 안정된 생태계에서는 설치류에만 있으므로 이 질병의 원인은 환경변화와 원인균 모두가 된다. 모기가 야생조류에서 소나 사람에게로 바이러스를 전파하는 뇌염 발생 증가도 모기와 야생조류의 생태학적 불균형에서 오는 것이다

'애견질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검색 및 진단  (0) 2008.01.14
질병이란 명확한 증상  (0) 2008.01.14
동물질병의 일반적 특징  (0) 2008.01.14
동물질병의 일반적 특징  (0) 2008.01.14
내분비 장애 크리닉  (0) 2007.0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