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귀 속은 평상시 면봉이나 포셋, 핀셋의 앞에 솜을 감아 붙인 것 등으로 닦아 청결하게 해줍니다. | |||||||||
| |||||||||
| |||||||||
눈물을 흘리는 것을 그대로 두면 눈물에 젖은 부분의 털이 색깔이 변하여 보기 흉한 빛깔로 바뀌어 본래의 표정을 잃어버리게 됩니다. 대부분의 개들이 까닭 없이 눈물을 흘리지는 않습니다. 눈물샘에 생리적 결함이 없는 개는 별도의 눈 손질이 필요치 않습니다. 그러나 눈에 티끌이나 먼지가 들어갔을 때는 눈이 충혈되어 눈물이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안약을 넣어 눈물이 멈추게 해야 합니다. 눈에 들어간 티끌을 씻어내는 것이 목적이므로 항생 물질이 함유된 안약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
![]() | |||||||||
| |||||||||
![]() | |||||||||
| |||||||||
![]() | |||||||||
| |||||||||
| |||||||||
항문의 주위에는 배변의 찌꺼기나 기생충 알이 배변과 함께 배출되어 붙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평소 청결하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항문 주위선, 항문 주도관(직장에서 항문으로 연결되는 관) 등의 기관 기 능이 정상이고 변의 형태가 정상이라면 항문 주위가 극단적으로 더러워지는 일은 없지만 부드러운 변 또는 설사를 했을 때 나머지가 묻기도 하고 앉았을 때에 먼지나 진흙이 더해져서 오물이 증가합니다. | |||||||||
- 부드러운 변이나 설사로 항문 주위가 더러워질 때에는 미지근한 양질의 물이나 자극이 없는 물로 씻고서 곧 드라이로 말립니다. - 항문부를 땅에 문지르는 행동이 있을 때에는 개 촌충의 기생이라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수의사와 상담하 여 구제약을 투여합니다 |